국제 플라스틱 협약 체결을 위한 정부간 협상위원회가 25일부터 열립니다. <br /> <br />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문제의 심각성은 전 세계가 인정하고 있지만, 개별 국가의 이익이 달려 있어 협상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부터 매일 마시는 커피 용기, 각종 생활용품까지,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플라스틱이 안 쓰인 곳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 플라스틱 연간 생산량은 2000년 이후 최근까지 2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올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다 쓰고 난 플라스틱 제품들은 9%만 재활용되고 상당 부분은 소각되거나 마구잡이로 버려져 환경에 악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에서 열리는 제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가 주목받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위원회에는 175개국 대표들이 모이는데, 플라스틱 생산 축소, 재활용 강화, 폐기물 관리 방안 등과 관련해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만드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목표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4차례에 걸쳐 위원회가 열렸고 이번이 마지막인데 플라스틱 원료인 폴리머 생산 자체를 규제할 것인지, 아니면 폐기물 관리에만 집중할 것인지가 중요한 쟁점입니다. <br /> <br />플라스틱 생산 감량을 위한 전 세계적 목표를 정할 것인지도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플라스틱 생산이 많으냐 소비가 많으냐, 혹은 산유국이냐 개발도상국이냐 등 각 나라의 상황에 따라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[홍수열 /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 (지난 6월) : 객관적으로 봤을 때 (합의 여부가) 매우 불투명하다고 생각을 합니다. 산유국들의 입장이 워낙 강고하고….] <br /> <br />이번 회의를 앞두고 폐 현수막을 활용한 손가방이나 미세 플라스틱이 없는 섬유유연제를 만들어보는 등 플라스틱 감축을 촉구하는 다양한 행사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주영 (kimjy081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112319095315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