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울의 집값이 떨어질거란 전망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매매가격 전망지수가 7개월 만에 하락으로 돌아선 겁니다. <br> <br>유찬 기자가 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서울 서초구의 고가 아파트 단지입니다. <br> <br>지난달 전용59㎡ 매매가는 33억 원. <br> <br>직전달 38억 3천만 원에서 한 달만에 5억 원 넘게 떨어졌습니다.<br> <br>앞으로 이런 하락 거래가 더 많아질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KB부동산이 발표한 이번달 서울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94로 기준점인 100을 밑돌았습니다. <br> <br>앞으로 2~3개월 뒤면 가격이 떨어질 걸로 내다본 응답이 더 많다는 뜻입니다. <br><br>이런 하락 전망은 지난 4월 이후 7개월 만입니다.<br> <br>앞서 한국부동산원 조사에서도 9월 기준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0.01% 하락했습니다. <br> <br>실거래가가 떨어진 건 올해 들어 처음. <br> <br>정부의 대출 규제가 영향을 줬단 분석입니다. <br> <br>[김효선 / NH농협 부동산수석위원] <br>"대출 규제 같은 영향 때문에 거래량이 줄어들다 보니까 저가 매물 위주로 이제 거래가 되고 있고 당분간은 하락 쪽으로 전환하는 상태가 유지될 것 같고요." <br> <br>하지만 수도권을 시작으로 내년부터 주택 공급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> <br>[권대중 / 서강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(내년)하반기부터 2026년도로 접어들면 입주 물량이 부족하게 되면 아무래도 금리가 인하되면서 대출 규제가 완화된다면 주택 가격이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요." <br> <br>서울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내년 공급 감소에 따른 집값 상승 요인은 남아 있단 분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 찬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유찬 기자 chancha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