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노역했던 사도광산 노동자를 기리는 첫 추도식이 오늘 사도 시 아이카와 개발 종합센터에서 한국 측이 불참한 가운데 반쪽행사로 치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애초 참석하기로 했던 우리 측 유족과 정부 대표는 일본 정부 대표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력 등을 문제 삼아 어제 전격 불참 결정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 대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은 추도사에서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들이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힘든 노동을 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이들이 "종전까지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유감스럽지만 이 땅에서 돌아가신 분들도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쿠이나 정무관은 또 니가타현과 사도시는 한국과의 문화 교류에도 힘쓰고 있다면서 양측 관계가 더욱 강화되기를 기원한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 측 유족과 정부 대표인 박철희 주일 대사는 사도 섬에서 별도로 자체 추도식을 열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 지난 7월 사도광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때 매년 추도식을 열기로 한국에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추도식 협의 과정에서 양국 정부는 명칭부터 일정, 중앙정부 참석자 등을 놓고 갈등을 빚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가 대표로 파견한 이쿠이나 정무관은 1980년대 유명 걸그룹 출신으로 참의원 당선 직후인 2022년 8월 15일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이력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위안부와 강제 징용 등 한일 갈등 현안에 대해서도 한국이 양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습니다. <br /> <br />사도광산은 에도시대(1603∼1867) 금광으로 쓰였고 곳으로 태평양전쟁이 본격화한 뒤에는 구리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이용돼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때 식민지 조선인들이 강제 동원돼 혹독한 환경 속에서 차별받으며 일해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도광산에 동원된 조선인 수는 1천5백여 명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희준 (hijun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12422593990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