환경단체, ’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’ 도출 촉구 <br />170여 개국, 올해 안에 ’플라스틱 협약’ 만들기로 <br />부산에서 정부간협상위원회(INC) 마지막 회의 개막 <br />선진국·개도국, 협약 이행 재원 비율 두고 입장 차 <br />산업계와 ’플라스틱 순환경제 주도협력’ 발족<br /><br /> <br />탄소 배출처럼 국제적으로 플라스틱 생산을 규제하기 위한 협상이 부산에서 개막했습니다. <br /> <br />목표대로 정부 간 협상이 타결되면, 플라스틱 배출과 관리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가진 최초의 국제 협약이 탄생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문석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환경단체 그린피스가 내건 '감시의 눈'은 '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' 도출을 촉구하는 세계의 관심을 보여줍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0년 1.5억 톤이던 전 세계 플라스틱 발생량은 2019년 3.5억 톤으로 늘었고 2060년에 10억 톤이 넘을 거로 전망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유엔환경총회 170여 개국이 플라스틱 생산에서 소비, 처리까지 전 과정을 규제하자며 올해까지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만들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에서 개막한 5차 정부간협상위원회(INC) 회의는 지난 2년간 노력의 담판장입니다. <br /> <br />성공적 합의를 위해 넘을 산은 크게 두 개. <br /> <br />우선 플라스틱 원료물질 생산 규제와 관련해 생산국과 소비국 사이 이견을 좁혀야 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차례 협상에서 중국 등 플라스틱 생산국은 원료 생산규제에 반대한다는 입장을, 유럽연합 등 소비국은 감축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의지를 굽히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, 협약 이행 재원을 선진국과 개도국이 얼마씩 부담할지에 대해서도 입장 차를 줄여야 합니다. <br /> <br />협상위원회 의장은 협약 도출에 자신감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루이스 바야스 발비디에소 / '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' 정부간협상위원회(INC) 의장 : 저는 이곳 부산 회의를 통해 (플라스틱) 위기를 끝내고, 협약이나 미래 협약을 위한 합의문을 도출할 거라 확신합니다.] <br /> <br />개최국인 우리나라도 산업계와 '플라스틱 순환경제 주도협력'을 발족하며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플라스틱 생산국이면서 동시에 소비국이라는 점에서 생산 감축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완섭 / 환경부 장관 : 획일적이고 직접적으로 하는 규제 방식보다는 우선은 단계별로, 또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….] <br /> <br />플라스틱 규제 협약 최종 성사 여부는 다음 달 1일 결정됩니다. <br /> <br />일부에서는, 이견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문석 (mslee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112523010205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