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개성공단에 전력을 공급하고자 남측이 건설해 준 송전탑들의 송전선을 정리하는 등 철거 작업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. <br /> <br /> 26일 군에 따르면 북한군 수 명이 지난 24일부터 경의선 주변 송전탑에 올라가서 일부 송전선들을 자르는 모습이 군 감시자산에 포착됐다. 군 관계자는 “송전탑들을 철거하려는 작업의 일부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”고 밝혔다. <br /> <br /> 철탑 형태인 송전탑은 북한이 지난달 15일 폭파한 군사분계선(MDL) 바로 북쪽 지점부터 개성공단까지 연결되는 경의선 도로에 수백 m 간격으로 지어져 있다. <br /> <br /> 남측 문산에서 북한 평화변전소로 이어지는 송전 구간에 총 48기의 철탑이 있고 북측에 15기가 있다. <br /> <br /> 한국전력이 건설한 이들 송전 설비는 2006년 12월 남북 간 연결돼 개성공단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. 그러나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그해 2월부터 전력 공급이 중단됐다. <br /> <br /> 이후 전력 공급이 일부 재개됐다가 2020년 6월 북한이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이후부터는 전력 공급이 이뤄지지 않았다. <br /> <br /> 북한은 현재 진행 중인 송전선 정리를 마치면 본격적으로 송전탑을 해체·철거하는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. <br /> <br /> 송전탑 철거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‘남북 적대적 교전국’ 선언 이래 남북 연결을 끊어 온 움직임의 선상에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. <br /> <br /> 김정은은 지난 1월 북남 관계는 더 이상 동족 관계, 동질 관계가 아닌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, 전쟁 중에 있는 두 교전국 관계라고 발언했다. <br />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94876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