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첫날, 관세폭탄을 떨어뜨릴 나라로 멕시코와 캐나다를 지목했습니다. <br> <br>국경을 통해 마약이 유입되고 있다는 게 이유였는데요. <br> <br>미국 수출 때문에 멕시코와 캐나다 현지에 나가있는 우리 기업들,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임종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당선 전부터 멕시코를 향해 날을 세워온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당시 미 공화당 대선 후보 (현지시각 지난 4일)] <br>"그들(멕시코)이 미국으로 보내는 모든 물품에 25%의 관세를 즉시 부과할 것이라고 취임 첫날이나 조만간 그녀(멕시코 대통령)에게 알릴 겁니다." <br> <br>트럼프 당선인은 현지시각 25일 SNS를 통해 "1월 20일 첫 행정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오는 모든 제품에 관세 25%를 부과하겠다"고 발표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국경을 통한 마약과 불법 이민자 유입이 멈출 때까지 관세가 유효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중국에 대해서도 10% 추가 관세를 언급했습니다.<br> <br>트럼프 발표에 미국 접경국가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삼성전자와 LG전자는 멕시코 현지에서 가전 공장을, 기아차는 완성차 공장을 운영 중입니다. <br> <br>캐나다에는 2차전지 업체들이 다수 진출해 있습니다.<br> <br>관세가 부과될 경우 제품값 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어서, 일부 기업들은 제품 생산지를 다변화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대종 /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] <br>"최대한으로 (멕시코, 캐나다에서) 줄이는 방향, 미국에서 현지 생산을 늘리는 것이 가장 좋은 대안이다." <br> <br>무역 문제에 동맹도 예외가 없다는 트럼프의 입장이 재확인되면서, 관세폭탄이 언제든지 한국으로 향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임종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박혜린<br /><br /><br />임종민 기자 forest13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