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나경철 앵커, 이세나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민경 YTN 기상·재난 전문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퀘어 2PM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◇앵커> 이미 기록적인 폭설이 쏟아졌는데, 오늘 밤사이에 한 차례 고비가 더 있다고요? <br /> <br />◆기자> 맞습니다. 다시 한 번 일기도 보실까요? <br /> <br />앞서 봤던 상층 5km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이 저기압이 반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오늘 밤부터 내일 오전 사이에 다시 한 번 강한 눈구름이 중부와 이번에는 남부 일부까지 들어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움푹 파인 부분을 기압골이라고 하는데요, <br /> <br />여기에서 구름이 잘 발달하는 건데, <br /> <br />원래는 저기압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한번 영향을 주고 동쪽으로 빠져야 하는데, <br /> <br />지금 대기 상층의 흐름이 정체되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저기압이 제자리에서 톱니바퀴처럼 계속 도니까 기압골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건데 이 시점이 오늘 밤부터라고 보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내일까지 강원 산간과 수도권에 20cm 이상, 충청과 호남에 15cm 이상의 많은 눈이 더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◇앵커> 그런데 중부도 문제지만 충청내륙에서는 특히 경계해야 한다고요? <br /> <br />◆기자> 맞습니다.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차가운 북서풍이 서해 상을 지나면서 눈구름이 발달해 서쪽, 특히 서해안 지역에 눈이 쏟아지는 건데, <br /> <br />문제는 가끔 충청 도심 지역인 대전과 아산, 천안, 청주 등에 갑작스럽게 폭설이 쏟아질 때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명 '아산만 효과'라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화면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구름이 서해 먼바다가 통과하는 게 아니라, <br /> <br />바람 방향이 이렇게 300도 이상일 때 이렇게 경기만을 지나 아산만을 지나서 충청 내륙으로 구름이 들어오는 건데요. <br /> <br />문제는 구름 폭이 장마철 띠 모양의 비구름처럼 매우 좁아서 슈퍼컴퓨터가 예측하기가 굉장히 어렵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0년 12월 30일쯤에는 세종 일부 지역에 3시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눈이 10cm가량 순식간에 쌓이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대담 발췌 : 송은혜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<br /> <br />#Y녹취록 #폭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12714361844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