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분당과 일산을 비롯한 1시 신도시 재건축이 33년 만에 추진됩니다.<br> <br>정부는 6년 뒤인 2030년 입주를 강조했지만, 추가 분담금 문제 등으로 쉽지 않을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.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1991년 입주를 시작한 1기 신도시가 재건축됩니다. <br> <br>33년만입니다. <br> <br>재건축 선정 지역은 분당이 1만 1000채로 가장 많습니다. <br> <br>그밖에 일산 8900채, 평촌 5500채 등 1기 신도시 5곳, 13개 단지의 3만 6000채 규모입니다.<br> <br>정부는 2027년 착공해 2030년에는 입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추가 분담금과 대규모 이주가 걸림돌이 될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1기 신도시 각 단지들은 재건축 단지로 선정되기 위해 공공기여나 임대주택 비율을 높게 책정했습니다. <br> <br>그만큼 사업성이 낮다보니 사업비가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여기에 공사비까지 급등한 터라 '분담금 폭탄'이 발목을 잡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[이은형 / 대한건설정책연구원] <br>"추가 분담금을 1억~2억 원 정도를 얘기한다면 가능한 얘기인데, 지금은 물가가 많이 올라서 2·3배 정도가 많이 언급이 되죠." <br> <br>2030년 입주 목표를 맞추려면 앞으로 3년 안에 수만 가구가 이주를 동시에 끝내야 하는데 주변 전월세 시장을 자극할 우려도 있습니다. <br> <br>[분당 재건축 대상 아파트단지 인근 부동산] <br>"이주하려면 알아서 각자도생 그렇잖아요. 어디를 이주 단지를 해놓은 게 아니니까. 아마 전세난이 좀 대란이 나오겠죠. <br> <br>국토교통부는 이런 우려를 의식해 다음 달 재건축 이주대책을 별도로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기상 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