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1기 정부 때 이미 세 차례 김정은 위원장과 만났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, <br> <br> 취임도 하기 전에 또 다시 김정은 위원장을 직접 만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.<br> <br> 러시아와 밀착 중인 북한의 반응도 관심입니다.<br> <br>워싱턴에서 최주현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도널드 트럼프 /미국 대통령 당선인 (지난 7월)] <br>"난 김정은과 관계가 좋았어요. 핵무기를 많이 가진 누군가와 친하게 지내는 것은 좋은 것 아닙니까?"<br> <br>"27통의 친서를 주고 받았다"며 대선 기간 내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친분을 과시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. <br> <br>취임하기도 전에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> <br>로이터 통신은 현지시각 어제 복수의 트럼프 측근을 인용해 "트럼프 측이 김 위원장과 직접 대화를 추진하는 방향으로 논의 중"이라고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[키스 켈로그 /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 안보센터장(채널A 인터뷰)] <br>"트럼프는 누군가와 대화를 위해서 어디든 가고 무엇이든 할 것입니다. 트럼프는 싱가포르와 하노이에서 김정은을 만났습니다.“ <br> <br>세부 일정이나 대화의 조건 등은 정해지지 않았고 트럼프 역시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친분을 활용해 일단 대화부터 재개하는 이른바‘선 대화 후 협상’ 전략을 구사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. <br> <br>트럼프는 지난 재임 시절 김 위원장과 3번의 만남을 가졌는데, 로이터는 "트럼프 당선인이 당시 경험에서 자신이 직접 대화에 나서는 것이 북한에 영향을 주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을 배웠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관건은 러시아와 밀착하는 북한의 반응입니다. <br> <br>김 위원장은 최근 "협상으로 미국과 갈 수 있는 곳까지 다 가봤다“며 협상 가능성에 선을 그은 바 있습니다. <br> <br>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이 강화된 상황에서 트럼프가 취임 뒤 얼마나 빠르게 북미 관계를 회복하느냐가 북핵 문제 해결의 최우선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 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: 김지향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