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트럼프 정권 인수팀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직접 대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죠. <br /> <br />지금처럼 남북관계가 단절된 상황에서 미국과 북한이 직접 담판에 나설 경우 우리가 '패싱', 즉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어떤 상황인지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기와 비교하면 트럼프 2기 정부는 초반부터 북미 대화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1기 때는 두 정상이 처음 만나는데 1년 5개월이 걸렸지만 <br /> <br />이번엔 출범 전부터 시동을 걸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렇게 서두르는 건 1기 때와 달리 공화당이 상·하원을 모두 장악한 데다 이미 김정은을 경험해봤다는 자신감이 더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출범과 동시에 외교 성과를 거두려는 트럼프에게 북한과의 대화는 한층 중요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비핵화 어젠다에다, 북한군 파병으로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과도 연동돼있기 때문이죠. <br /> <br />그래서 트럼프가 '톱다운' 방식으로 김정은 위원장과 직거래에 나설 가능성이 있는데, <br /> <br />현재 남북관계는 파탄 수준이고 북러는 혈맹으로 묶여 우리는 대화에 끼기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물론 북한이 쉽사리 대화에 나설 것으로 보이진 않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의 손짓에 '미국과 협상으로 갈 수 있는 곳까지 다 가 봤다', '확신한 것은 적대적인 대조선정책'이라며 1기 당시 대화를 평가절하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미 핵무력 고도화를 상당히 이룬 데다 러시아와 밀착한 지금으로선 대화에 응할 유인이 많지는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우리 안보의 가장 큰 위협인 동시에 동아시아 정세에 핵심적인 관리 요인이죠. <br /> <br />남북관계 단절과 러-우 전쟁, 힘세진 트럼프까지, 과거보다 훨씬 복잡한 방정식 속에서 더 정밀한 외교·안보 대응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진혁 (chojh033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12809280717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