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이례적 눈 폭탄의 원인과 전망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김민경 YTN 기상·재난 전문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제 밤부터 그야말로 눈 폭탄이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어느 지역이 눈이 제일 많이 내렸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경기 용인시 백암면이 47.5cm로, 50cm에 육박하는 눈이 쌓였고, <br /> <br />경기 광주, 서울 관악, 충북 진천 등에도 40cm가 넘는 눈이 쌓였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공식 관측소에도 28.6cm가 기록되면서 역대 일 적설량 3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같은 서울인데도 관악구에 특히 더 많이 내린 이유가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관악구는 우선 고도가 141m 정도로 지대가 높습니다. <br /> <br />지대가 높은 만큼, 같은 서울이라도 오늘 아침 최저기온이 서울 공식 기온은 영하 0.1도지만, 관악구는 영하 0.8도였습니다. <br /> <br />눈이 이번처럼 '습설'인 형태일 때는 이런 미세한 온도 차이에서도 적설량의 차이가 크게 벌어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보통 눈이 오면 항상 강원 산간 부근이 제일 많이 내렸던 것 같은데, 이번에는 수도권이나 충청 등 서쪽에 집중됐어요, 왜 그런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기도 한 번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대기 상층 5km 부근입니다. <br /> <br />이 노랗고 붉은 동그란 덩어리가 우리나라 북쪽 상층에 정체됐던 저기압인데요. <br /> <br />우리나라 쪽으로 축 처진 부분, 이걸 골짜기 같다고 해서 '골'이라고 표현을 하는데요. <br /> <br />이 부근에서 구름이 잘 발달하게 되는데, <br /> <br />어젯밤부터 오늘 오전까지는 이 골이 수도권과 충청 부근에 위치했었던 게 원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도대체 왜 이렇게 많이 내린 거예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찬 저기압과 더운 바다의 '잘못된 만남'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더 거슬러 올라가면 대기 상층이 '블로킹' 즉, 공기의 흐름이 정체됐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저기압이 톱니바퀴 돌아가듯이 제자리에서 돌면서 북쪽의 영하 30도 이하의 매우 찬 공기를 계속 내려보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 저기압이 보낸 찬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를 지났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래픽 왼쪽의 붉은색은 평년과 비교했을 때 해수면 온도가 높은 곳으로, 색이 진할수록 차이가 크게 나는 곳인데요. <br /> <br />현재 서해의 온도가 15도로, 평년보다 2도가량 높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대기 상층 1.5km의 온도는 영하 10도가량이다 보니까, <br /> <br />대기 중의 온도와 해수 온도와의 차이가 25도 정도나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112817250217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