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츠하이머병 신약 ’레켐비’ 이번 달 국내 첫 도입 <br />’레켐비’ 원인 물질 없애 치매 속도 늦추는 첫 약 <br />부작용 우려도 존재…일부 환자 뇌출혈·부종 겪어 <br />유럽·호주 보건당국, 아직 레켐비 미승인 상태<br /><br /> <br />치매를 일으키는 여러 원인 가운데 퇴행성 뇌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이 전체 치매의 50∼60%를 차지하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 달 알츠하이머병 신약이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됩니다. <br /> <br />병의 원인 물질을 없애는 최초의 약물로 기대가 크지만, 부작용 우려도 함께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10명 가운데 한 명이 치매 환자일 정도로 치매는 초고령사회의 피할 수 없는 그림자입니다. <br /> <br />관련된 약들이 나와 있지만, 복용 초반 증상을 완화해주는 수준일 뿐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치매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알츠하이머병 신약 '레켐비'가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됩니다. <br /> <br />알츠하이머 치매는 비정상적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이 뇌에 쌓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신약은 이 단백질 덩어리가 상당 부분 쌓이지 않도록 하는 원리입니다. <br /> <br />원인 물질을 없애 치매 진행 속도를 전체적으로 늦춰주는 첫 약품인 만큼 기대감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약을 썼을 때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축적을 절반 이상 막아준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강성훈 / 고대구로병원 신경과 교수 : 6개월 정도를 더 기억력이 유지된 상태, 인지 기능이 유지된 상태로 좀 살 수 있게 됐다.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다만 신약은 전체 치매 환자가 아니라 임상실험이 진행됐던 초기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만 사용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부작용 우려도 존재합니다. <br /> <br />외국의 경우 일부 투약 환자가 뇌출혈·뇌부종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과 호주 보건당국이 레켐비를 승인하지 않은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문지희 / '레켐비' 개발 한국에자이 상무 : 허가사항 자체에서도 사실 뇌부종이나 뇌출혈의 리스크를 MRI모니터링 하도록 돼 있습니다. (향후에) 같은 계열의 약재들을 한 번에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그런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백인 외에는 효능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거나 아시아계에는 부작용이 더 적었다는 등 상반된 분석도 나오는 가운데 국내 환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낼지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YTN 김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주영 (kimjy081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120105185459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