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정부의 HBM 수출 규제는 결국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세계 시장을 선도해온 우리나라 반도체 업계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일단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했는데, 업계의 우려는 잦아들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. 박기완 기자! <br /> <br />이번 조치와 관련해 정부가 먼저 입장을 발표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우리 정부는 미국의 이번 대중국 수출 통제 조치가 국내 업계에 미칠 영향은 적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기업의 소프트웨어나 기술을 사용해 HBM을 생산하는 우리 기업의 경우, 이번 수출 통제의 대상이 되는 건 맞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미국이 허용하는 방식으로 수출을 전환하면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일본이나 네덜란드의 경우 미국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어, 통제 대상이 되어야 하는데, <br /> <br />비슷한 수준의 대중국 수출 규제를 이미 시행하고 있다며,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도 이와 관련해 그동안 미국과 긴밀히 협의를 진행해왔다면서, <br /> <br />양국 기업이 예상치 못한 피해를 보지 않도록 두 나라가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별개로, 반도체 장비에 대해서도 대중국 수출 통제 대상이 확대됐는데, 우리 정부는 여기에 해당하는 국내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문제는 우리 기업들이죠. <br /> <br />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상황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세계 메모리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에 영향이 없다고 보긴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대중국 판매 비중이 이미 높지 않은 상황이라 영향 자체는 제한적인데요. <br /> <br />특히 SK하이닉스의 경우 HBM 물량 대부분을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 시장에 판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수요를 충당하기에도 버거울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반면 삼성전자의 경우 HBM2 등 일부 저사양 HBM을 중국에 판매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매출의 20% 정도로 알려졌습니다, <br /> <br />4분기 안에 엔비디아 품질 테스트를 통과 한다면 미국으로의 매출이 증가하면서 수출 통제 영향도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 바짝 뒤쫓고 있는 중국업체들이 반도체 장비를 수급받지 못하면서 우리 기업들이 초격차를 유지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오전 11시 반 기준으로 SK하이닉스는 전날보다 1.8% 이상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기완 (parkkw061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20311515269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