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백악관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를 사전에 통보받지 못했다며 한국 상황에 대해 중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이 6시간 만에 비상계엄 선포를 해제했지만 미 언론들은 충격적이라는 반응을 보였고, 미 증시에 상장된 우리 주식들도 급락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연결합니다. 홍상희 특파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워싱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 백악관, 사전에 우리 정부로부터 비상 계엄령 사실을 통보받지 못했다고 밝혔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계엄 선포와 관련한 YTN 질의에 미국은 비상계엄 선포를 사전에 통보 받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한국에서의 상황 전개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앙골라를 방문 중인 바이든 미 대통령도 현지에서 한국의 비상계엄 선포 상황을 보고받았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윤 대통령의 게엄령 해제 발표 직전에 미 국무부 브리핑이 있었는데, 이례적으로 계엄 상황과 관련한 질문이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베단트 파텔 국무부 부대변인은 국가의 법과 규칙은 해당 국가에서 지켜져야 한다며 한국 국회의 계엄해제 결의가 준수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부장관도 법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철통 같은 한미동맹을 강조하면서 불확실한 시기에 미국은 한국의 편에 서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캠벨 부장관의 말을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커트 캠벨 / 미국 국무부 부장관 ; 우리는 최근 한국의 상황 전개를 중대한 우려를 갖고 주시하고 있습니다. 이곳과 서울에서 모든 수급의 한국 측 인사들과 관여를 시도하고 있으며 (바이든) 대통령과 국가안보보좌관, 국무장관 등 모두가 상황에 대해 브리핑 받았고 지속해서 상황에 대한 평가를 보고받고 있습니다. 한국과의 동맹은 철통 같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고 불확실한 시기에 미국은 한국의 편에 서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. 또한 어떤 정치적 분쟁이든 평화적으로, 법치에 부합하게 해결될 것을 전적으로 희망하고 기대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.] <br /> <br />미 국방부도 브리핑에서 한국 비상계엄령 선포 이후 주한미군 태세에는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외신의 긴급 보도도 잇따르고 있는데요. 미국 언론의 반응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언론은 한국에서 일어난 비상계엄 상황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상희 (sa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20406002847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