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회에 투입된 계엄군은 최정예군이었던 만큼 첨단 장비를 갖추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고급 야간투시경에 방탄복까지 갖춰 입었고 특수부대용 소총과 각종 특수장비도 갖추고 있었습니다.<br> <br>김용성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은 야간투시경, 방탄헬멧, 방탄조끼, 소총 등 군사장비로 완전 무장된 모습이었습니다. <br> <br>특히 일부 병력의 헬멧 앞에 부착된 구멍이 4개인 장비가 눈에 띄는데, 개당 4천만 원에 달하는 4안 야간투시경입니다. <br> <br>좌우 90도의 시야각을 가지고 있어 구멍이 2개인 보통 야간 투시경에 비해 넓은 범위를 볼 수 있습니다 <br> <br>헬멧 위에 작은 장치도 눈에 띄는데, 적외선을 내보내 야간에 아군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는 피아식별장치입니다 <br> <br>특수전부대에 주로 보급된 장치인데 우리 군이 일반 보병 부대까지 확대하려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일부 장병은 국산 총기가 아닌 벨기에산 SCAR-L 소총 등 외국산 총기로 무장하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SCAR 소총은 미군 특수부대에서도 사용하는 대표적인 특수부대용 소총입니다. <br> <br>이외에도 저격소총과 삼각대를 장비한 저격수나 출입문 파괴용 산탄총을 가진 인원도 포착됐습니다.<br><br>다만 해당 장비는 국회 진입 과정에서 실제 사용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애당초 소총에 탄창을 끼지 않은 병사도 많았습니다. <br> <br>일부 계엄군의 방탄조끼에는 파란색 탄창도 포착됐는데, 군사전문가들은 탄두가 없어 훈련용으로 쓰는 모사탄이 들어간 탄창이라고 분석했습니다 <br> <br>[군사 전문가] <br>"출동 부대가 자제는 하려고 했다는거죠, 원래 실제 진압 임무 같으면 들어가서 차지봉(폭발물이 부착된 막대)으로 창문 깨고…" <br> <br>다만 야당을 중심으로 계엄군에 실탄이 지급됐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은 "계엄령 발표 직후 실탄과 기관단총이 지급됐고 저격수도 배치됐다는 제보를 받았다"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