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 부쩍 모르는 번호로 전화나 스팸 문자 받으시는 분들 많으시죠.<br><br>통신사들이 인공지능(AI) 활용해 의심 번호를 차단하거나 키워드를 추천해 스팸 전화를 걸러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.<br><br>보상 받을 수 있는 보험 상품까지 등장합니다.<br><br>임종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휴대전화를 살펴 보던 남성에게 모르는 번호로 한 통의 전화가 걸려옵니다.<br><br>번호 확인을 위해 화면을 열어보니 '스팸의심·대출권유'라는 문구가 뜹니다.<br><br>스팸메시지함에는 그간 차단된 메시지들이 가득 쌓여 있습니다.<br><br>매 문자마다 빨간색으로 '스팸 문자가 쓰여져 있습니다.<br><br>통신사에서 추천한 키워드를 기준으로 자동 차단된 문자들입니다.<br><br>올 상반기 투자 유인을 목적으로 한 불법 스팸문자만 8배 증가하는 등 스팸·스미싱 불편이 급증한데에 따른 조치입니다.<br><br>통신사들도 스팸 예방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.<br><br>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각사 AI 서비스인 에이닷과 익시오 내에 스팸 차단 기능을 탑재했습니다.<br><br>KT도 내년부터는 스팸·스미싱 차단에 특화된 애플리케이션 '후후'를 서비스할 예정입니다.<br><br>통신사가 이렇게 나설 수 있는 건 그간 쌓아온 업계의 데이터 덕분입니다.<br><br>[우현섭 / SK텔레콤 커뮤니케이션팀]<br>"갑자기 불특정 다수를 향한 문자 발송이 늘어난다거나 패턴상 이상한 것들이 보이는 회선들을 감지할 수가 있습니다."<br><br>스팸에 따른 피해가 급증하자 보상받을 수 있는 보험도 등장했습니다.<br><br>SK텔레콤과 한화손해보험은 1년간 사이버 금융 범죄를 무상으로 보장하는 보험을 도입했습니다.<br><br>65세 이상 고객은 최대 5백만 원까지 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.<br><br>스팸·스미싱 범람 속에 고객 신뢰를 지키려는 통신사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임종민입니다.<br><br>영상편집 : 박형기<br /><br /><br />임종민 기자 forest13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