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비상계엄에 대한 생각을 채널A에 밝혀왔습니다.<br> <br> '민주당의 입법독재가 선을 넘은 내란수준이다', '대통령이 유혈사태 방지를 최우선 지침으로 했다'고 주장했습니다.<br> <br>김용성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번 비상계엄을 건의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채널A에 자신의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출국금지 조치가 내려진 직후 텔레그램 메신저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직접 답을 해온 겁니다. <br> <br>김 전 장관은 계엄선포를 윤석열 대통령에게 건의한 이유에 대해 "더불어민주당의 초법적인 입법독재로 초유의 예산삭감과 행정 사법체계의 마비는 선을 넘어 내란 수준"이라며 "이를 극복하기 위한 비상조치가 필요하다는 게 대통령의 생각이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김 전 장관은 또 "사회 곳곳에서 암약하고 있는 종북주사파를 비롯한 반국가세력들을 정리하지 않고는 자유대한민국의 미래가 없다"고 했습니다. <br> <br>이어 "(계엄선포는) 헌정질서를 바로잡아 미래세대에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줘야한다는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를 표현한 것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> <br>계엄군이 투입된 상황에 대해 묻자 "계엄발령에 따라 장관인 본인의 명령에 의해 이뤄진 것"이라며 "예하 지휘관과 병력은 장관의 명령에 따른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도 “국민안전과 유혈사태 방지를 최우선으로 하라는 것이 V(대통령)지침”이었다며 “경찰로 우선 조치하고, 군은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1시간 이후 투입하기로 했다”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끝으로 김 전 장관은 조사에 부르면 당당하게 응하겠다는 뜻도 명확히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는 구체적인 계엄 선포 당시 상황에 대해 질문을 이어갔지만 김 전 장관은 메시지를 확인만 할 뿐 답을 추가로 하지는 않았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조아라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