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재명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2차 비상 계엄 선포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. <br> <br>"오늘밤 또 무슨 일을 벌이지 않을까 걱정된다"는 건데요, 국방부는 만약 그런 요구가 있더라도 절대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습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윤석열 대통령의 2차 비상 계엄 선포 가능성을 제기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. <br> <br>시기도 오늘 밤이나 내일 새벽 등 매우 임박했음을 시사했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] <br>"제가 가진 감으로 본다면 오늘밤, 새벽에 또 뭔가 일을 벌이지 않을까 그런 걱정이 들긴 합니다. (오늘 밤에 다시 계엄을 내릴 가능성을 얘기하신 건가요?) 저는 그런 우려가 듭니다." <br> <br>이에 대해 국방부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김선호 / 국방부 장관 직무대리(차관)] <br>"일각에서 제기된 2차 계엄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. 만약 계엄 발령 요구가 있더라도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는 이를 절대 수용하지 않을 것입니다." <br> <br>동시에 비상계엄에 직접 관여한 군인들의 직무를 정지 시키며 추가 계엄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. <br> <br>국방부는 이번 계엄의 핵심 관계자인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, 곽종근 특수전사령관,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 등 세 명에 대해 직무를 정지 시킴과 동시에 <br> <br>각각 국방부, 수도군단, 지상작전부로 전출 및 대기 조치를 내렸습니다.<br> <br>다만 계엄사령관을 맡은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직무정지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. <br> <br>현재의 엄중한 안보상황에서 육군 전체의 수장까지 직무를 정지하기는 힘들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김선호 / 국방부 차관] <br>"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국민여러분께 우려와 심려를 끼쳐 드린 점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며 다시 한 번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.” <br> <br>국방부는 이번 계엄 사태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계엄관련 원본 자료를 보관 조치 하는 등 관련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유하영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