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계엄이 선포됐던 그날 밤, 중앙선관위 청사에도 계엄군이 진입했죠. <br> <br>오늘 선관위는 "명백한 위헌"이라고 밝혔는데요. <br> <br>야당은 당시 영상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계엄군들이 선거인명부의 서버를 촬영하는 장면이 담겼습니다. <br> <br>조민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군복을 입은 남성 2명이 전산실 안으로 들어와 무언가를 찾는 듯 두리번거립니다. <br> <br>이후 한쪽 벽면을 가리키고 사진을 찍습니다. <br> <br>'통합명부시스템 서버'라고 적혀 있습니다. <br> <br>중앙선관위 내부 CCTV를 공개한 야당은 이들이 찍어간 서버는 사전투표 명부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부정선거 음모론에 기반해 선관위 침탈을 시도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> <br>[용혜인 / 기본소득당 의원] <br>"계엄 선언 이전부터 선관위 장악과 서버 침탈이 계획되었다면 이는 대한민국 헌정사상 최악의 민주주의 파괴 시도입니다." <br> <br>계엄군은 당시 야간 근무자가 있던 사무실도 점거했는데, 통합관제실을 비롯해 1층 당직실, 지하 1층 기계실, 청사 입구 안내실까지 모두 네 곳입니다.<br> <br>이 과정에서 근무자 5명 전원의 휴대전화도 압수했습니다. <br> <br>선관위 관계자는 "계엄군이 휴대전화 전원을 끄는 등 외부와의 연락을 차단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선관위는 오늘 오전 긴급회의를 열고 계엄군에 대한 법적 조치를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[노태악 / 중앙선거관리위원장] <br>"헌법상 독립기관인 중앙선관위에 대한 이와 같은 계엄군의 점거 행위는 헌법과 법률에 근거가 없는 명백한 위헌, 위법 행위입니다." <br> <br>부정선거 의혹을 확인하려 선관위에 진입했다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서는 "모든 선거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돼 <br>부정이 개입될 소지가 없다"고 선을 그었습니다.<br> <br>선관위는 2차 계엄 선포 가능성과 부정선거 의혹 제기 단체 등의 진입 등을 우려해 경찰에 청사 보호를 요청했고, 야간 근무자도 2배 정도 늘리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민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한효준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br /><br /><br />조민기 기자 minki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