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계엄 사태가 한미 동맹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와 일본을 함께 방문할 예정이었던 미 국방장관, 급히 일정을 변경해 일본만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워싱턴 최주현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조태열 외교부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전화 회담을 갖고 계엄 사태 후 한미 관계 봉합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블링컨 장관은 "계엄 해제에 대해 환영하며 한국의 민주적 절차가 승리할 것을 기대한다"고 언급했습니다.<br> <br>미 국무부도 "한미 동맹은 특정 대통령을 초월해 굳건하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 같은 언급에도 실제 현장에서는 한미 간 균열의 모습도 감지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음 주 우리나라와 일본을 함께 방문할 예정이었던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돌연 방한 계획을 취소하고 일본만 방문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한미 외교 소식통은 "최근 양국 국방 라인이 논의 끝에 방한 시기와 상황이 적절하지 않다 판단"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이에 앞서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이던 한미 핵협의그룹(NCG) 회의도 무기한 연기된 바 있습니다. <br> <br>[베단트 파텔 /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] <br>"계엄 결정과 관련해 대답해야 할 질문이 많습니다.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빨리 듣길 기대합니다." <br> <br>미국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 발령 사실을 사전에 알리지 않은 점에 대해서도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커트 캠벨 / 미국 국무부 부장관 (현지시각 그제)] <br>"제 생각에 윤석열 대통령은 심하게 오판했습니다. 한국은 몇 달 동안 어려운 상황에 처할 것입니다." <br> <br>현지에서는 우리 정부가 대화 창구를 확보해 대미 외교·안보 라인에 국내 상황을 설명하고 있지만 <br> <br>계엄 사태 후폭풍은 한미 동맹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희정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