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벨 문학상 시상식 참석을 위해 스웨덴을 방문하고 있는 한강 작가가 우리 시각으로 내일(8일) 새벽 공식 수상 연설을 합니다. <br /> <br />자신의 문학 여정을 담담히 돌아보고 앞으로의 집필 계획, 독자들에 대한 고마움을 전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나연수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노벨상 수상자 가운데 문학상 수상자의 공식 연설은 각별한 의미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자신의 문학 인생을 스스로 정리한 내용이기 때문에 독자나 평론가에게 주는 의미가 크고 연설문 자체가 하나의 작품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, 작가 자신도 연설문 작성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할 것이라고 사전에 밝히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한 강 / 스웨덴 공영방송 SVT 인터뷰 (지난 10월) : 바라건대, 지금 쓰는 짧은 소설을 10월이나 11월 초까지 마무리하고 그 이후에 (수상 소감문)을 쓸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작가는 우선 자신이 글을 쓰게 된 과정과 마음가짐, 문학적 성취와 실패 등을 담담하게 돌아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 통해 자신의 소설이 어떤 문학적 목표를 향해왔고 앞으로 어떤 글을 쓸 것인가에 대해서도 언급할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특히 한강 작가는 수상 발표 이후 공개 석상에서 구체적인 집필 목표를 말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한 강 / 포니정 혁신상 수상 당시 (지난 10월) : 통설에 따라 작가들의 황금기가 보통 50세에서 60세라고 가정한다면 6년이 남은 셈입니다. / 일단 앞으로 6년 동안은 지금 마음속에서 굴리고 있는 책 세 권을 쓰는 일에 몰두하고 싶습니다.] <br /> <br />무엇보다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에도 글을 쓰며 사는 소소한 일상을 지키고 싶은 마음, <br /> <br />또, 문학적 토대를 만들어준 아버지와 한국 문단, 독자, 번역가에 대한 고마움도 잊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한 강 / 포니정 혁신상 수상 당시 (지난 10월) : 저의 일상이 이전과 그리 달라지지 않기를 저는 믿고 바랍니다. 저는 제가 쓰는 글을 통해 세상과 연결되는 사람이니까, 지금까지 그래 왔던 것처럼 계속 써가면서 책 속에서 독자들을 만나고 싶습니다.] <br /> <br />한강 작가는 노벨 문학상을 받는 첫 아시아 여성입니다. <br /> <br />수상 발표 이후에는 세계에는 아직 많은 전쟁과 고통이 있고, 크게 잔치를 벌이고 싶지는 않다며 노벨상과 관련된 공식 회견을 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, 작가의 공식 수상 연설은 어느 노벨 문학상 수상자 때보다 국내외 문학계의 관심이 집중될 것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연수 (s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120701235788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