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비상계엄 선포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선 먼저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 선포 전에 소집했던 국무회의에서 무슨 말이 오갔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. <br> <br>행정안전부가 당시 상황이 기록된 회의록 확보를 시도 중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과 국방부에 요청을 해놓은 상태인데, 아직까지 답을 받진 못했습니다. <br><br>강태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비상계엄 선포 전 열린 국무회의는 사전 예고 없이 급하게 이뤄지며 회의록을 작성할 행정안전부 의정관도 배석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[김한수 / 행정안전부 의정관(지난 5일)] <br>"(누가 기록했습니까, 대신?) 전혀 알지 못합니다. 대통령실에 지금 확인 중에 있습니다." <br> <br>행정안전부는 대통령실과 국방부에 회의 속기록이나 녹취 등 남아있는 기록을 제출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아직까지 회신을 받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자료 확보가 지체되는 사이 기록이 폐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<br>행안부 산하 국가기록원은 어제 비상계엄 관련 기록물 관리를 요청하는 공문을 관련 기관에 보냈습니다. <br> <br>기록물을 철저히 관리하고 법에 위반해 폐기하면 처벌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<br> <br>행안부는 빠른 시일 내에 자료를 받겠다는 입장이지만, 참가자들의 개별 발언이 모두 빠진 깡통 회의록만 남을 우려가 있습니다. <br> <br>[이상민 / 행정안전부 장관(지난 5일)] <br>"속기나 녹음이, 그 당시 워낙 급박하게 소집된 상황이라 그것이 되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." <br> <br>행안부 관계자는 "남아있는 증거가 없다면 추가로 요청을 한다고 더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은 없을 것"이라며 "대통령실에서 넘겨주는 자료를 그대로 받을 예정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태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박혜린<br /><br /><br />강태연 기자 tan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