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대통령이 법적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단 입장을 밝히면서 수사 속도도 빨라질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조만간 국방부를 포함해서 주요 사건 관계자들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이 이뤄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김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검찰 특별수사본부는 주말인 오늘도 수사팀 전원이 출근했습니다. <br><br>60명 규모의 수사팀을 세 개로 나눠 '비상계엄령' 사건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법원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 받는대로 동시다발적인 전방위 압수수색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압수수색 1순위로 거론되는 대상은 국방부와 김용현 전 국방장관입니다. <br><br>계엄을 건의한 김 전 장관은 이번 사건 핵심 피의자로 꼽힙니다. <br><br>국방부는 군부대가 아닌 행정부처라, 장관 등의 승인 없이도 압수수색 영장 집행이 가능합니다.<br> <br>보안상의 이유로 진입에 제약이 있는 군부대나 군사시설에 비해 신속히 압수수색에 나설 수 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도 주요 압수수색 대상으로 거론됩니다. <br><br>[대국민 담화] <br>"저는 이번 계엄 선포와 관련하여 법적·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습니다." <br> <br>다만 대통령실도 보안 문제 때문에 강제 압수수색이 아닌 임의제출 방식으로 자료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> <br>압수물 분석을 통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 과정에 불법 행위가 있었는지, 주요 정치인 체포나 ,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의결을 막기 위해 군부대 투입을 명령했는지 등을 확인할 예정입니다.<br> <br>검찰은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에 검사 20명, 수사관 30여 명을 차출했습니다. <br> <br>국방부도 군검사 5명 등 수사인력 12명을 추가 파견하면서, 60명이 넘는 대규모 합동수사단이 꾸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승은<br /><br /><br />김정근 기자 rightroo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