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'탄핵 반대'를 당론으로 정했던 국민의힘은 먼저 진행된 김건희 여사 특검법 재표결을 마친 뒤 안철수, 김예지 의원 등을 제외하고 집단 퇴장했습니다. <br> <br>혹시 모를 이탈표를 막기 위한 조치였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최수연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국민의힘 소속 의원 대부분이 김건희 여사 특검법 표결 이후 본회의장에서 집단 퇴장했습니다. <br> <br>다음 순서로 상정되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아예 불참하기 위한 겁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 탄핵 반대를 당론으로 채택한 데 더해 이탈표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윤 대통령의 퇴진 일정이 나오지 않으면 찬성표를 던지겠다던 안철수 의원은 본회의장에 끝까지 남았습니다. <br> <br>[안철수 / 국민의힘 의원] <br>"어떻게 중립내각 구성할 건지 거기에 대해서 확실하게 말씀을 국민께 드려야죠 납득할 수 있도록." <br> <br>초재선 소장파 의원으로 임기단축 개헌을 제안했던 김예지, 김상욱 의원 등도 본회의장에 돌아와 표결에 참여했습니다. <br> <br>탄핵안 투표 정족수인 200명에는 미치지 못해 우원식 국회의장은 아직까지 투표 종료를 선언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은 대국민담화를 계기로 단일대오로 일단 탄핵을 막자는데 공감대를 형성했습니다. <br><br>[윤상현 / 국민의힘 의원] <br>"우리가 통일된 대오를 가지고 대통령 탄핵을 반대한다, 당론으로 반대한다는 말씀을 드리고 그러나 정치적 책임은 진다. " <br> <br>하지만 당 지도부의 표결 보이콧 결정을 두고 헌법기관으로서의 국회의원 표결권을 침해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재평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