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비상계엄 사태와 연루된 군 고위 관계자들 강제수사도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국방부는 국회에 병력을 파견한 방첩사령부 소속 장성 2명을 추가로 직무정지했습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이 최근 SNS 계정을 탈퇴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김민곤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 대화방에 '탈퇴한 계정'이라는 문구가 보입니다. <br> <br>이와 함께 어제 오후에 보낸 메시지를 읽었다는 뜻으로 이중 체크 표시가 돼 있습니다.<br> <br>계엄군 지휘관 3명 중 1명인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과 채널A 취재진의 대화방으로,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긴급 체포된 오늘 곽 사령관이 텔레그램을 탈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계정을 탈퇴하면 지금까지의 문자 메시지와 대화 내용이 모두 사라집니다. <br> <br>앞서 김 전 장관도 휴대전화를 바꾸며 텔레그램을 탈퇴한 사실이 알려졌는데 증거 인멸 의혹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곽 사령관은 계엄 관련 내용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해왔습니다. <br> <br>[곽종근 / 육군 특수전사령관 (그제)] <br>"한 20여 분 전쯤 된 것 같습니다. (계엄령 보도) 그 전에 장관 지시를 받아서 그때는 어떤 상황이 있을 거란 인식을 했고…" <br> <br>국방부는 그제 "비상계엄 관련 원본 자료는 보관하고, 폐기·은폐·조작 행위는 일체 금지하라"는 지시를 내린 바 있습니다.<br> <br>곽 사령관은 텔레그램 탈퇴 이유를 묻는 채널A의 질의에 답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국방부는 오늘 방첩사령부 소속 장성 2명에 대해 추가로 직무 정지 조치를 내렸습니다. <br> <br>보안 업무를 담당하며 여인형 방첩사령관의 비서실장을 지냈던 정성우 1처장과 국회의원 체포조 운영 의혹을 받는 김대우 수사단장을 기존 근무지에서 분리한 겁니다.<br> <br>계엄 관련 업무와 정보에서 배제하려는 의도로 풀이되는 가운데, 사령관 직무대리가 직접 건의해 이뤄진 만큼 군에서도 이들에 대한 의혹을 무겁게 보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곤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최동훈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