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동의 화약고 가운데 하나였던 시리아 내전이 13년 만에 막을 내리면서 중동 정세가 다시 요동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방 진영은 독재정권의 몰락을 환영하면서도 이슬람 극단주의의 부상을 경계하고 있고, 주변국은 잇따라 국경을 폐쇄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유투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54년간 이어진 철권통치를 상징하는 시리아 대통령궁이 적막에 휩싸였습니다. <br /> <br />시민들은 대통령궁 구석구석을 돌아보며 알아사드 정권의 몰락을 자축했습니다. <br /> <br />교도소에서 풀려난 수감자들이 거리를 질주하는 장면도 목격됐습니다. <br /> <br />13년간 이어진 내전을 피해 유럽과 중동으로 흩어졌던 시리아 난민들도 일제히 광장으로 쏟아져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영국 런던 거주 시리아 난민 : 이 순간을 너무나 오랫동안 기다려 왔기 때문에 지금 느낌은 말로 표현하기 어렵습니다.] <br /> <br />미국과 유럽 등 서방진영은 환영 메시지를 발표하면서도 이슬람 극단주의의 부상을 경계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군의 핵심 세력인 HTS는 알카에다와의 연계 등을 이유로 미국이 테러단체로 지정한 무장조직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다마스쿠스를 장악한 이후 처음 모습을 드러낸 반군 지도자는 이슬람 국가의 승리를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아부 모하메드 알골라니 시리아 반군 HTS 지도자 : 형제 여러분, 이번 승리는 이슬람 국가 전체의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연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이 때문에 반군의 군사행동이 주변국으로 확대될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20개가 넘는 정파가 뒤섞여 있는 반군 내부에서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될 조짐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시리아의 혼란한 상황을 고려해 레바논과 요르단 등은 국경을 폐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은 다수의 탱크를 동원해 1974년 휴전 협정으로 설정된 골란고원의 완충지대를 장악하기 위해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: 이스라엘 국경 옆에 적대세력이 들어오는 걸 막기 위해 이스라엘군에게 이 지점을 점령하라고 명령했습니다.] <br /> <br />알아사드 정권을 발판으로 미국과 이스라엘을 견제했던 이란과 러시아가 큰 타격을 입은 것도 중동 정세의 큰 변수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유투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유투권 (r2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20905323196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