환율 오르면 수출기업 타격…원자재 가격 상승 <br />석유화학·철강·배터리 업계 등 환율 예의주시 <br />’수출 효자’ K-방산도 긴장…방한 줄줄이 취소 <br />트럼프발 관세 전쟁 대응 ’골든 타임’ 실기 우려<br /><br /> <br />계엄 사태로 급등한 환율이 탄핵 사태 장기화로 당분간 고공행진을 이어갈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뜩이나 경기가 어려운데 수출마저 발목을 잡히는 것 아닌지 기업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환율이 요동치면 직격탄을 맞는 곳 가운데 하나가 바로 수출기업입니다. <br /> <br />환율이 오르면 원자재 구입 비용이 치솟고 부채 부담도 커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리튬이나 니켈 등 원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배터리 업계나 석유화학, 철강 등이 바로 그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예를 들어 캐즘으로 고전 중인 배터리 기업 LG 에너지솔루션의 경우 <br /> <br />3분기 달러 부채가 6조 8천여억 원으로 달러 자산보다 2조 3천억 원 넘게 많은데, 만약 환율이 10%만 올라도 세전 손실이 2천 4백억 원 가까이 늘어납니다. <br /> <br />예상하기 힘든 변동성 때문에 신규 투자가 발목을 잡히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아직 전면 재검토 단계는 아니지만 삼성, 현대차, SK 등에서 내년 사업계획을 다시금 면밀하게 들여다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방산업계도 긴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상계엄령이 내려지며 키르기스스탄공화국 대통령의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방문 일정이 취소됐고, <br /> <br />방위산업 분야 협력 의사를 밝혔던 스웨덴 총리의 방한 일정도 취소되는 등 줄줄이 '퇴짜'를 맞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'트럼프 2기 행정부' 출범이 코앞인데, 국정 마비로 이른바 '관세 전쟁'에 대응할 '골든 타임'을 놓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광석/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 : ('강달러' 기조가 지속된다면)국내 수입업체들 수입물가 부담이 가중될 수 있고, 소비자 물가 부담으로 전개될 수 있습니다. '강달러'라는 굉장히 어려운 국면에 취하다 보면 완화적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도 어려운 사면초가에 놓인 거시경제 환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게다가 정치적 불안이 이미 얼어붙어 있는 내수 경기를 더 큰 수렁에 빠트릴 가능성마저 제기되면서 희망차야 할 연말연시를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혜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지연 <br />디자인 : 이가은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혜경 (whitepaper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21023040619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