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비상 계엄령의 후폭풍이 거셉니다.<br><br>내수시장 타격은 물론 환율 변동성도 커지며 연말 특수는 기대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인데요.<br><br>장호림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비상 계엄 사태로 인한 혼란이 탄핵 정국으로 이어지면서 민간 소비에도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.<br><br>고물가 시대에 뒤숭숭한 분위기까지 더해지면서 시민들이 지출을 줄이고 있는 겁니다.<br><br>[시민 A씨]<br>"이게 (경기가) 굉장히 어렵다는 것을 너무 많이 느끼고. 의류를 거의 많이 절약하고요. 그다음에 외식도 거의 안 하고 있어요. 다 이렇게 그냥 집에서 해 먹고"<br><br>이런 상황이다 보니 연말 특수를 기대했던 식당들도 고민이 깊습니다.<br><br>[B 씨 / 자영업자]<br>"단체 예약하셨던 분들이나 그런 분들이 (계엄령 직후) 취소 건수가 많아지고 있습니다. 한 40% 정도는 취소를 하고 있습니다."<br><br>직전 분기 보다 0.5%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여온 3분기 민간소비는 계엄 여파로 4분기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><br>최악의 경우 마이너스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.<br><br>[김정식 /연세대 경제학과 교수]<br>"연말이면 이제 소비가 조금 늘어나는 그런 계절적 요인이 있는데 이번에는 워낙 큰 정치적 혼란이 있기 때문에 4분기를 비롯해 내년 초에도 소비가 줄어들 걸로 보입니다."<br><br>여기에 치솟는 환율은 더 큰 문제입니다.<br><br>유학생들과 수입 대금 결제를 앞둔 기업들에게 큰 부담이 되기 때문입니다. <br><br>계엄 직후인 지난 3일 부터 빠르게 급등한 환율은 9일 1437.0원을 돌파하며 2년 1개월 만에 최고치 수준을 기록했습니다.<br><br>심리적 저지선인 1450원 선도 위협받자 유학생 커뮤니티에선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정부는 뒤늦게 유동성 공급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스스로 '코리아 디스카운트'를 자초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장호림입니다.<br><br>영상편집: 김찬우<br>영상편집: 이승은<br /><br /><br />장호림 기자 holic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