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 사건을 접수받으면 가장 먼저 하는 일, 바로 전산 추첨 방식으로 주심 재판관을 정하는 겁니다.<br> <br>과거 사례를 보면, 주심 재판관이 탄핵심판 쟁점 정리부터 결정문 초안 작성까지 재판의 흐름을 주도하는 역할을 했습니다.<br> <br>이새하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국회의 탄핵소추의결서가 헌법재판소에 접수되면 헌재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에 '2024헌나8'이라는 번호를 붙이게 됩니다. <br> <br>'헌나'는 탄핵심판에 붙이는 사건부호로, 2024년 헌재에 접수된 8번째 탄핵심판이라는 뜻입니다. <br><br>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주심 재판관도 곧 결정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주심 재판관은 전자 추첨 방식으로 정하는데, 헌재소장 권한대행으로 재판장을 맡는 문형배 재판관을 제외한 나머지 재판관 5명 중 한 명에게 무작위로 배당합니다. <br><br>주심 재판관은 사건 쟁점 정리와 판결문에 해당하는 결정문 초안 작성을 맡고, 국회와 윤 대통령 측에 대한 질의도 주도적으로 하게 됩니다. <br> <br>사실상 재판 흐름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맡는 겁니다. <br> <br>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엔 강일원 재판관이 주심이었습니다. <br> <br>[강일원 / 당시 탄핵심판 주심(지난 2017년)] <br>"최서원(최순실)이 만든 자료를 피청구인(박근혜 전 대통령)께서 어떻게 받으신 건가요? (현재까지 기억을 잘 못하고 계십니다.)" <br> <br>답변이 미흡하면 공개 변론 중에도 바로 지적을 했습니다. <br> <br>[강일원 / 당시 탄핵심판 주심(지난 2017년)] <br>"지금 객관적으로는 당연히 알 수 있는 내용도 다 모른다거나 진술할 수 없다고 하시는데 조금 적절치 않은 것 같습니다." <br> <br>현재 헌법재판관 6인은 전원 판사 출신이라 누가 맡든 판사 출신이 주심이 됩니다. <br> <br>헌재는 다음 주 윤 대통령 탄핵심판 전담 태스크포스(TF)도 꾸려 재판 지원에 나설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새하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이새하 기자 ha1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