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경제부처들은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합니다. <br> <br>경기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전체 예산의 75%를 내년 상반기에 조기집행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탄핵이 가결되자 경제팀은 즉각 비상대응 체제에 돌입했습니다. <br> <br>최상목 경제부총리는 내일 오후 긴급경제장관 회의와 대외관계장관간담회를 잇달아 열어 탄핵 이후 경제상황을 점검합니다.<br><br>최 부총리를 비롯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 경제수장 4인이 모여 금융시장 안정 방안도 논의합니다.<br> <br>경제팀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계엄 사태 이후 위협받고 있는 대외신인도를 되찾는 겁니다. <br> <br>최근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와 외투기업들을 연달아 만난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앞으로도 접촉을 확대하면서 한국의 안정적인 경제관리를 강조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국내 경기 대응도 본격화됩니다. <br> <br>당장 다음 주 국무회의에서 기금을 제외한 570조 원대 내년도 예산이 의결되는데 전체 예산의 50%를 1분기에 집중 쏟아붓는 방안이 거론됩니다. <br> <br>상반기에만 전체 예산의 75%를 조기 집행해 경기 침체를 막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[주 원 /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] <br>"재정의 조기 집행률을 1분기에 집중하면 내수가 침체가 되는 걸 어느 정도 방어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" <br> <br>정부는 또 투자경쟁에서 뒤쳐지고 있는 반도체와 인공지능 같은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 예산을 조기배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추경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도 거론됩니다. <br> <br>[김상봉 /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추경을 통해서 사회 취약 계층들을 돕는다든지, 중소기업 재기나 (R&D) 기술기업들을 돕는다든지 이런 부분들이 필요하죠." <br><br>한국경영자총협회는 탄핵안 가결 직후, "기업들도 경제 안정을 위해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승훈 정승호 <br>영상편집: 석동은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