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 체제로 넘어가면서 총리실은 바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과거 대통령 권한대행이 두 번 있었죠. <br> <br>황교안, 고건 전 총리. 두 사례 중 고 전 총리 전례를 따를 것 같다는 건데요. <br> <br>어떤 의미인지 총리실 현장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. <br> <br>강태연 기자, <br> <br>[질문]한 총리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됐습니까? <br> <br>[기자]<br>아직 아닙니다. <br> <br>국회에서 가결된 탄핵 의결서가 윤석열 대통령에게 곧 송달되는데 그 즉시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됩니다. <br> <br>그러면 한 총리는 국무회의를 소집해 향후 국정운영방향을 논의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이어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, NSC 또한 소집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앞서 한 총리는 탄핵안 가결 직후 기자들을 만나 "이 어려운 시기에 오로지 국정 안정 운영에 힘과 노력을 다하겠다"고 만 밝혔습니다. <br> <br>[질문]한 총리가 권한대행으로서 얼만큼 대통령의 권한을 행사할지도 관심이죠? <br> <br>네, 그렇습니다. <br> <br>다만 한덕수 총리가 권한대행으로서 최소한의 권한만 행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> <br>적극적인 권한을 행사한 박근혜 정부 당시 황교안 권한대행보다 노무현 정부 당시 고건 권한대행의 전례를 따를 것이라는 분석입니다.<br> <br>권한대행의 업무 범위가 법률상 정해져 있지 않아 대행 체제마다 논란이 돼 왔습니다. <br> <br>황 권한대행은 2016년 당시 공공기관장 인사권을 행사하고 민생 현장도 적극적으로 찾아 야당의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김진표 / 당시 민주당 의원 (2016년)] <br>"대통령 코스프레하고 있다는 비판에 있는데." <br><br>[황교안 /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(2016년)] <br>"부득이한 이런 부분들에 대해선 부득이 인사를 단행해서 그 공백들을 메워가고." <br> <br>반대로 2004년 고건 권한대행은 인사권을 행사하지 않았고 정상외교에도 적극 나서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한 총리가 계엄 사태 피의자로 수사를 받고 있는 데다 야당에서 탄핵안 추진을 검토하고 있는 점도 절제된 권한을 행사할 것이란 전망에 힘을 더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총리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박연수 <br>영상편집: 박혜린<br /><br /><br />강태연 기자 tan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