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대통령 탄핵안을 통과시킨 국회는 여야 모두 정국 수습책 마련을 고심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특히 여당은 한동훈 체제가 사실상 붕괴되며 전운이 감도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국회 출입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 <br> <br>박자은 기자. <br><br>[질문1] 국민의힘은 한동훈 대표 사퇴 요구까지 나왔죠? <br><br>[기자]<br>대통령 탄핵안 처리 당시 국민의힘에선 최소 12명의 의원이 이탈표에 힘을 실었습니다. <br> <br>이 문제가 당장 친한 친윤 충돌로 이어지며 갈등이 폭발했고, 한동훈 대표 물러나라는 소리까지 당내에서 터져나왔습니다. <br><br>탄핵안 통과이후 곧바로 이어진 의원총회에서 한동훈 지도부 최고위원 5명이 사퇴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결국, 한동훈 지도부 해체 수순으로 들어가게 된 겁니다. <br> <br>의총장에 온 한 대표가 "내가 비상계엄을 선포한 건 아니지 않느냐"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한 대표 입장에서는 대표직 사퇴의사가 없음을 명확히 한 건데, 조만간 입장을 밝힐 거라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><br>[질문2] 민주당은 일단 탄핵안을 통과시키는데 성공한 입장이잖아요?<br> <br>이재명 대표는 오늘 오전 기자간담회를 열고 "민주주의를 외친 여러분이 계셨기에 가능했다" 탄핵안 처리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국정 정상화를 목표로 '국정안정협의체' 구성을 정부여당에 제안했습니다. <br> <br>오로지 경제만 바라보자는 겁니다. <br> <br>사실상 이 대표와 민주당이 정국혼란 상황을 수습할 대안세력으로서의 모습을 강조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한덕수 총리에 대한 탄핵안 발의도 관건이었는데요, 이 대표는 "국정 난맥의 책임을 물어 탄핵해야 한다는 마음은 있지만 국정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에 탄핵절차를 밟지 않기로 했다"며, 김건희 여사 특검법, 일반특검 등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하지 말아달라는 취지로 말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김석현 <br>영상편집:이혜진<br /><br /><br />박자은 기자 jadool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