취임을 한 달여 앞둔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, 일본과는 정상외교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지만 한국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양자 회담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도 나와 탄핵 정국에 따른 '한국 패싱'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홍상희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70분 동안 진행된 대선 이후 첫 기자 회견에서 트럼프 당선인은 세계의 모든 문제를 함께 해결하자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는 취임 전 정상회담 가능성까지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/미 대통령 당선인(현지시간 16일) : 일본 총리를 만날 수 있기를 원합니다. 그럴거예요. (취임식 전에 이뤄질 수도 있습니까?) 일본에서 원한다면 가능합니다. 그렇게 할 겁니다.]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구상과 함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까지 언급했지만, 동맹국인 한국과 관련된 말은 전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/ 미 대통령 당선인(현지시간 16일) : 그건 나쁜 일이었고 북한군을 (우크라전에)불러들인 거라고 생각합니다. 김정은 위원장은 제가 잘 지내는 또 다른 사람이고, 제가 유일하죠.] <br /> <br />기자회견이 끝난 뒤 트럼프 당선인은 대중 강경파인 조지 글래스 전 포루투갈 대사를 일본 주재 미 대사로 지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당선인은 자신의 오랜 후원자인 글래스 전 대사에 대해 "미국을 항상 최우선에 놓을 것"이라며 신뢰를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지난 5일에는 데이비드 퍼듀 전 연방 상원의원을 중국 주재 대사로 지명했지만 주한 미 대사는 후보조차 거론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탄핵 정국에 따른 리더십 공백으로 트럼프 당선인과의 정상 외교는 물론 2기 행정부 핵심 인사들과의 관계도 제대로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트럼프 당선인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친분을 잇따라 강조하고 있어 북미 정상회담 등 접촉에서 한국이 소외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국의 '한국 패싱'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는 한덕수 권한대행의 방미를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하지만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다자회의 계기가 아니라면 한국이나 미국에서의 양자 회담은 열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홍상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상희 (sa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21805535281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