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계엄 초기부터 부정적인 언급을 했던 미국 백악관, 한국 민주주의에 대해 국가안보보좌관이 “잘 버텨내고 있다”고 평가했습니다. <br> <br>한 외신은, 빠른 계엄 해제와 대통령 탄핵 가결 배경으로 한국의 빨리빨리 문화를 들었습니다. <br> <br>외국이 본 한국 정계의 모습, 박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강조했습니다. <br><br>설리번 보좌관은 현지시각 어제 열린 한 대담에서 한국의 상황과 관련된 질문을 받자, "진짜 시험은 민주 제도가 꺾이더라도 그날이 끝날 때까지 버텨내느냐는 것"이라며 "한국의 제도는 잘 버텨내고 있다"고 평가했습니다.<br> <br>최근 미 정부 고위 당국자들이 '한국의 회복력'을 강조하며 한미 동맹은 굳건하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. <br><br>같은 날 블룸버그 통신은 계엄 선포 후 2주도 되지 않아 탄핵안이 가결된 현 상황이 '빨리빨리 문화'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> <br>블룸버그 통신은 "한국의 ‘빨리 빨리(palipali)’문화가 대통령이 내려오는 데에 도움을 줬다"는 제목의 기사에서 "최근 몇년간 갈등 해결에 정면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통해 급속도로 산업화를 이룬 한국의 문화를 반영한다"고 진단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"한국인들은 단결해 반발하는 데 어떤 시간도 지체하지 않았다"며 "수천 명의 시위대가 응원봉을 들고 K팝에 맞춰 춤을 췄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박선영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윤재영 <br>영상편집: 조아라<br /><br /><br />박선영 기자 teba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