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서 가결되고 헌재로 공이 넘어간 뒤에도 정치적 불확싱성은 여전한 상황입니다. <br> <br>시장에 불확실성이 가중되며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금으로 몰리고 있는데요, <br> <br>내년에도 금값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유찬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윤석열 대통령이 계엄 내란 사태를 촉발했던 지난 3일 이후 금 가격은 7거래일 연속 상승했습니다. <br> <br>1g에 12만 원이던 금 현물 가격은 1차 윤 대통령 탄핵안이 부결된 뒤 상승폭을 더 키웠습니다. <br> <br>12일에 12만 5560원까지 오르며 4.6% 가량 상승한 겁니다. <br> <br>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간 금값은 탄핵안 가결 뒤 첫 거래일인 16일 12만 341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.<br> <br>이 기간 개인투자자들이 한국거래소에서 사들인 금 현물 순매수 금액만 658억 원에 달했습니다. <br> <br>은행을 통한 금 투자도 늘었는데, 골드뱅킹 계좌를 운영하는 3개 은행 합산 잔액은 7691억 원으로 이달 초 대비 243억 원 증가했습니다.<br> <br>올해 수차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국제 금시세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여기에 국내 정치 혼란까지 더해지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선호가 늘어난 상황입니다.<br> <br>내년 초 미국 트럼프정부 2기가 출범하면 전세계적으로 불확실성이 늘어나 금 매수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[황병진 NH투자증권 이사] <br>"안전자산의 개념으로라도 저는 금 매수세 자체는 계속 유효할 거다. 금 가격은 내년까지도 계속 상대적으로 사상 최고치 레벨 부근에서 움직이지 않을까." <br> <br>올해 국제 금값 강세가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서 비롯된 만큼 내년 연준에서 금리를 몇번 더 내릴 지가 금 가격 변동에 주요 변수란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찬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이승근 김민정<br /><br /><br />유찬 기자 chancha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