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내년 초 더 올라간다"…당국 추가 대책 마련 <br />기업 비상…"내년 사업계획 조정해야" <br />수입 원자재 가격 올라 수익에 타격 <br />반도체·배터리 업계 투자비 증가 우려<br /><br /> <br />트럼프 당선, 우리나라 정치 격변에 이은 미국의 금리인하 속도 조절로 우리 경제 아킬레스건인 환율이 '3중 충격'을 맞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내년 초엔 더할 거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당국은 국민연금과의 스와프 증액 등 시장 달러 수요 억제를 비롯해 추가 대책 마련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뜩이나 높았던 환율이 더 치솟자 기업들은 비상입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 수출 산업인 반도체와 자동차도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습니다. <br /> <br />단기적으로는 수출 가격에 경쟁력이 생기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올라 수익에 타격을 줍니다. <br /> <br />특히 반도체와 배터리 업체는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있어 설비 투자 비용이 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정유와 철강업 등 원자재 수입이 많은 기업도 울상입니다. <br /> <br />내년 초 상황은 가늠하기조차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[허준영 /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: 트럼프 행정부의 신정책들이 들어오면서 '이거 한국의 구조적인 취약성으로 가는 거 아니야?' 중국에 대해서 생각보다 세게 때리거나 일본에 대해서도 뭔가 피해가 가는 정책들이 나온다거나…] <br /> <br />금융당국은 일단 기업이 소나기를 피할 수 있도록 은행에 기업 외화 결제와 외화 대출 만기 조정을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신 올해 말 예정됐던 은행 스트레스 완충자본 도입을 내년 하반기 이후로 미뤘습니다. <br /> <br />위기 상황 대비 자본을 추가로 적립하도록 하는 조치를 미룬 대신 여력을 실물 경제 지원에 써달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외환 당국(한국은행·기획재정부)은 국민연금과 외환 스와프 거래 한도를 650억 달러로 늘리고, 계약 기한도 내년 말로 1년 연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연금이 해외자산을 사기 위해 시장에서 달러를 사들이면 환율이 더 오르니까 외환 당국에서 먼저 공급받고 나중에 돌려주는 구조입니다. <br /> <br />외환보유액 감소에 일시적인 영향을 미칠 순 있지만 외환보유액이 4,154억 달러로 세계 9위 수준인 데다 순대외채권국이어서 외환 위기 우려는 지나치다고 당국은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[최상목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: 외환시장 안정과 외화 유동성 확보 등을 위해 외환 수급 개선방안, 연장 시간대 외환거래 활성화 방안, 세계국채지수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21920395000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