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비상계엄 선포와 대통령 탄핵 등으로 우리나라의 외교력에도 큰 타격을 입었는데요. <br /> <br />미국의 새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신속한 외교 복원을 위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미국을 방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최근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부인을 플로리다 자택으로 초청해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귀국길에 이시바 총리의 선물까지 챙겨 보낸 트럼프는 취임 전 회담 가능성까지 열어줬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/미 대통령 당선인(지난 16일) : 일본 총리를 만날 수 있기를 원합니다. 그럴 거예요. (취임식 전에 이뤄질 수도 있습니까?) 일본에서 원한다면 가능합니다. 그렇게 할 겁니다.] <br /> <br />실제 참석 가능성은 알 수 없지만,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는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식 초청 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,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누구보다 마음이 급한 건 우리나라입니다. <br /> <br />북미협상 재개 가능성을 비롯해 방위비 그리고 관세 압박까지 닥쳐올 과제에 대해 우리 입장을 하루빨리 전달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조태열/외교부 장관(지난 18일) : 북핵 문제에 대해서도 미국의 신 행정부 출범 이전에 우리의 대응 구상과 로드맵을 마련하여 북미 협상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트럼프 당선인을 만나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지만,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이 남미 순방길에 방미를 추진했지만, 결국 성사되지 않았듯이 현재 상황에서 결정권은 전적으로 트럼프 쪽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계엄과 탄핵 등으로 어지러운 국내 정세까지 더해지면서, 트럼프 측에서 굳이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만남을 우선순위에 둘 이유가 없습니다. <br /> <br />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는 황교안 권한대행 역시, 당시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을 방한 과정에서 만난 게 전부였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기업 총수 등 재계 인사들의 인적 네트워크까지 총동원한다는 계획이지만, 결국, 결정권을 쥔 건 트럼프 당선인이라는 측면에서 한덕수 권한대행의 방미는 쉽게 성사되기 어려워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선기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선기 (sunki0524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122106385340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