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“국회의장 공관에 군인” vs “대통령 공관 경계용”

2024-12-24 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계엄군이 국회의장 공관에 집결한 정황이 포착됐다며 국회 사무총장이 CCTV를 공개했습니다. <br> <br>우원식 국회의장을 체포하려던 목적 아니냐며 진상규명을 요구했는데, 국방부는 "대통령 공관 주변 경계 강화 차원에서 출동한 것"이라고 했습니다.<br> <br>김유빈 기자입니다. <br><br>[기자]<br>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 4일 새벽 1시 42분.<br><br>군인 등이 의장 공관 담벼락을 따라 걷습니다. <br><br>사복 차림 2명이 앞쪽에서 걷고, 군인 9명이 뒤를 따라 갑니다. <br><br>또 다른 장면에서 포착된 군인 2명까지 총 13명입니다. <br><br>8분 뒤인 새벽 1시 50분.<br><br>군인들이 공관 정문 앞에 집결합니다. <br> <br>국회에선 '비상계엄해제요구안'이 가결돼 계엄군이 모두 철수한 시점입니다. <br><br>3시간 뒤인 새벽 4시 45분이 되어서야 군인들이 철수하기 시작합니다. <br><br>국무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가 의결된 지 15분이 지난 시점입니다.<br><br>국회 사무총장은 오늘 기자회견을 열어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의장 공관으로 군인 등이 출동한 정황이 담긴 CCTV를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[김민기 / 국회 사무총장] <br>"계엄해제 요구 의결 후 공관에 복귀할 가능성이 있는 국회의장을 체포하라는 명령이 있었는지, 또 2차 계엄의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국방부의 해명을 촉구합니다."<br> <br>그러면서 국방부에 이들 13명의 소속과 지휘계통, 출동 병력과 출동 목적 등을 공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><br>국방부 측은 "대통령 경호처 요청에 따라 대통령 공관 주변 경계 강화 차원에서 출동했다"고 해명했습니다.<br><br>대통령 공관과 의장 공관은 모두 한남동에 위치하고 있는데 직선거리로 250m 떨어져 있습니다.<br><br>국방부는 또 당시 출동한 병력은 "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소속 비무장병력"이었고, "사복차림 2명은 평시 산불 방지 등의 임무로 상주 근무하는 인원이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 철 김명철 <br>영상편집 : 강 민<br /><br /><br />김유빈 기자 eubini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