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항공 측은 이번 추락 사고와 관련해 애도와 사과의 뜻을 전하며 직원들을 현장에 급파해 유족 지원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은 정부의 몫이라면서도 정비 과정에서 해당 기체에 이상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고 발생 5시간 만에 제주항공 대표와 임원진이 침통한 표정으로 취재진 앞에 섰습니다. <br /> <br />희생된 탑승객과 유가족에 애도와 사과의 뜻을 전하며 깊이 고개 숙였습니다. <br /> <br />[김이배 / 제주항공 대표이사 : 무엇보다 이번 사고로 인해서 유명을 달리하신 탑승객분들과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와 사과의 말씀을 올립니다.] <br /> <br />이유를 막론하고 책임을 통감한다며 유가족 지원을 위해 임직원 260명을 사고 현장으로 급파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확한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국토부 등 정부 기관의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말을 아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추락한 기체는 사고 이력이 없고 출발 전후의 일상적인 정비 과정에서도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이배 / 제주항공 대표이사 : (해당 비행기는 사고 이력이 있었나요?) 전혀 없었습니다. 정비 프로그램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정비하고 있는 거고요, 이 항공기에 이상이 있었던 징후는 전혀 없었습니다.] <br /> <br />사고가 난 기체는 제작된 지 15년 된 미국 보잉사의 737-800 기종으로 비교적 신형에 속합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 누적판매량이 만 대가 넘는 인기 기종이라 우리나라에도 모두 101대가 운항 중인데 이 가운데 제주항공 여객기가 39대로 가장 많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만큼 사고 소식도 잦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2년엔 중국 동방항공 소속의 이 기종 항공기가 추락해 승객과 승무원 132명이 모두 숨졌고, <br /> <br />같은 계열 기종인 '737 맥스'는 잦은 기계 결함으로 한때 전 세계 운항이 전면 중단됐다가 지난 2020년에야 재개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민 (j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23001343564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