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사고기 블랙박스 김포로 이동 중...1,200미터 지점에 착지 / YTN

2024-12-30 19 Dailymotion

제주항공 사고의 원인 조사를 주관하고 있는 국토교통부는 수거한 비행기록장치를 분석센터로 옮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기종인 보잉 B737-800 기종 전체에 대해 기체점검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,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<br /> <br />김기봉 기자! 비행기록장치는 온전히 수거됐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토부는 일단 두 개의 블랙박스 그러니까 비행기록장치 FDR과 음성기록장치 CVR을 모두 수거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두 개 가운데 음성기록장치(CVR)는 외형이 온전한 상태지만, 비행기록장치 FDR은 외형 일부에 파손이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 당국은 조금 전 오전 10시부터 이 기록장치들을 사고 현장에서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로 이동하고 있는데, 도착하는 대로 내용이 제대로 보관돼있는지 조사에 들어갈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만약 비행기록장치의 내용이 훼손됐다면 조사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사고 조사와 관련해서는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사와 엔진제작사도 함께 참여할 예정인데 보잉사로부터는 참여 의사 답변을 받았고, 엔진 제조사에는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국토부는 사고 당시 항공기가 활주로의 끝 지점부터 착지한 게 아니라 3분의 1 지점부터 착지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2천8백m 활주로 가운데 천2백m 지점에 착지해 활주 거리가 천6백m, 충돌한 벽까지는 천8백50m 정도였다는 추정인데, 왜 중간 지점에 착지했는지 여부는 조사를 더 해야 알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김 기자! 사고 항공기의 랜딩기어 문제도 언급됐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아침 제주항공의 동일 기종 항공기가 랜딩기어 문제로 회항하는 사고가 또 났는데요. <br /> <br />국토부는 항공안전감독관을 제주항공에 급파해 조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국토부는 이 기종 대한 특별점검을 우선적으로 하기로 하고, 각 항공사에 공문을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기종인 보잉의 B737-800 기종은 제주항공에서 운영하는 41대의 비행기 가운데 39대를 차지하고, 우리나라 전체에 101대가 운영되고 있다고 국토부는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항공기 동체 착륙 당시에 활주로에 거품을 분사하는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서는 메이데이를 선언한 뒤 실제 착륙까지 시간이 너무 짧았고, <br /> <br />거품을 뿌리면 기체가 미끄러져 오히려 더 큰 사고 우려가 있는 점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기봉 (kg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23011485594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