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관제탑 경고 뒤 '메이데이'...버드 스트라이크가 원인? / YTN

2024-12-30 12 Dailymotion

이번 사고 원인 중 하나로 버드 스트라이크, 즉 항공기와 조류 충돌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관제탑 경고 약 1분 뒤 사고기 기장은 메이데이, 즉 조난신호를 보냈는데요. <br /> <br />해외에서도 잦은 '버드 스트라이크' 현상은 국내에서 5년 반 동안 무려 620건 넘게 일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객기 날개 뒤로 수차례 불꽃이 번쩍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월, 인천공항에 착륙하던 여객기 엔진에 새가 빨려 들어가 발생한 사고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기체와 조류가 충돌하는 현상을 '버드 스트라이크'라고 부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고에서도 관제탑이 조류 충돌을 경고하고 1분 뒤 기장이 메이데이, 즉 조난 신호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[유경수 / 국토교통부 항공안전정책관 : 아침 8시 54분에 관제탑 착륙 허가가 있었고. 8시 57분에 조류 이동주의 조언이 있었고 8시 59분에 조종사 메이데이 요청이 있었습니다. 그리고 09시 3분에 최종 충돌사고가 있었습니다.] <br /> <br />국내 한 항공사의 실험 결과 시속 370km로 나는 항공기에 900g짜리 청둥오리 한 마리가 충돌할 경우 순간 충격은 무려 4.8t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항 입지 특성상 들판이나 강가가 많아 새들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데, <br /> <br />실제로 무안공항 활주로 주변은 갯벌과 호수가 있어 먹잇감이 풍부해 지난해 국토교통부에서 새 군집지역으로 분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겨울철에는 철새가 먹이를 찾아 한반도로 몰리면서 위험성이 더 높아집니다. <br /> <br />[함은구 / 을지대 안전공학전공 교수 : 무안 지역 같은 경우에 철새 도래지구 유네스코 (세계자연유산)도 신청한 상황이잖아요. 모든 공항이 다 조류의 영향을 받겠지만, 특히 이 무안 쪽은 새떼들이 많은 곳에다가 입지를 한 게 아닌가…] <br /> <br />2019년부터 지난 상반기까지 국내에 보고된 버드스트라이크는 모두 623건, <br /> <br />코로나19 시기를 제외하곤 매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국토교통부는 버드 스트라이크가 있었는지, 랜딩기어 고장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조사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지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지은 (j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23013120950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