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제주항공 여객기의 폭발 충격이 컸던 이유로 공항 활주로 끝에 설치된 항공 안전시설, 로컬라이저가 언급되고 있습니다.<br> <br>콘크리트 둔덕에 세운 이 항공안전 구조물이 인명피해를 키운 건지, 먼저 이민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사고 여객기 잔해 옆에 보이는 주황색 구조물. <br> <br>로컬라이저로 불리는 안테나입니다. <br> <br>비행기의 착륙각도를 알려주려고 활주로 끝에 설치가 되는데, 사고 여객기는 동체 착륙하다 활주로 끝에서 200여 미터 떨어진 이 로컬라이저와 충돌했습니다. <br><br>무안국제공항의 로컬라이저는 콘트리트 구조물로 지은 둔덕 위에 설치돼 있었습니다. <br> <br>흙으로 덮인 둔덕은 높이 2m, 폭 15m 크기인데, 흙 아래에는 2m 높이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붙혀 있습니다. <br><br>사고 비행기가 빠른 속도로 로컬러이저와 연결된 콘크리트 둔덕과 부딪치면서 충돌 충격이 더 커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[이인규 / 항공대 비행교육원 원장] <br>"콘크리트 둔덕에 부딪혀서 항공기가 완전히 그냥 대파 되면서 바로 화재가 발생하거든요. (콘크리트 구조물 규정 등) 그런 부분들을 조금 더 조사해야 되고." <br> <br>국내 공항마다 로컬라이저 설치 운영 방법은 제각각입니다. <br> <br>무안공항과 달리 서울 김포공항은 평지에 안테나만 노출돼 있어, 항공기와 충돌해도 안테나만 부서지게끔 설치돼 있습니다. <br> <br>무안공항의 콘크리트 둔덕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에 대해 국토교통부는 "다른 나라에도 콘크리트 둔덕이 설치된 사례가 있다"면서 "사고와의 연관성을 따져보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추진엽 <br>영상편집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이민준 기자 2minju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