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참사 희생자를 기리며, 온 국민이 마음 아픈 새해를 맞게 됐습니다. <br> <br>애도 기간에 맞춰 서울 보신각 타종 행사는 규모를 줄이기로 했고, 새해 맞이 카운트다운은 소리 없이 진행하기로 했습니다.<br> <br>이다해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작업자들이 보신각 근처에 설치된 철근 구조물을 철거합니다. <br> <br>무대 장비는 버스에 실어 옮깁니다. <br> <br>다음달 4일까지 국가애도기간이 이어지는만큼 서울시는 제야의 종 타종행사를 축소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행사 메인 무대만 남기고 주변 무대 3곳을 해체했습니다.<br> <br>K-POP 공연은 아예 취소했고, 광화문 카운트다운도 조명쇼나 소리 없이 영상만 상영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정건오 / 서울 강서구] <br>"그런 사고도 났고 했는데 거기서 막 노래도 부르고 하면 그렇고 조용하게 올해 넘겼으면 좋겠습니다." <br> <br>음악과 함께 들썩였던 서울광장 스케이트장도 오늘부터는 조용해졌습니다.<br> <br>운영은 그대로 하지만 이번 주는 음악을 틀지 않습니다. <br> <br>[황현서 / 서울 마포구] <br>"애도기간이니까 노래를 틀지 않는다는 표지판이나 사인 같은 걸 올려놔도 더 의미가 있지 않을까." <br> <br>앞서 행정안전부는 전국 지자체에 연말 행사를 "차분하게 진행하라"는 공문을 보냈습니다. <br> <br>부산시는 해운대에서 열릴 카운트다운 행사를 취소하기로 했고, 광주시와 전주시도 제야 행사를 취소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애도 분위기가 한창인데 참사 당일인 어제 밤 여의도 한강 유람선에서 불꽃놀이가 진행돼 비판이 쏟아졌습니다. <br> <br>온라인에서 논란이 확산하자 주최 측은 물의를 일으켰다며 사과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기상 강인재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