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발생 사흘째인 오늘도 추가 수색작업과 희생자 신원 확인이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희생자 179명 중 174명의 신원이 확인됐는데요. <br> <br>사고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<br> <br>공국진 기자! <br> <br>(질문 1) 아직 신원 확인이 안된 분이 5명 있는거네요? <br><br>[기자]<br>네, 현재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5명은 정밀 DNA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공항 대합실에는 많은 유가족들은 희생자 인계와 추가 신원 파악을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습니다. <br><br>당국은 오늘 중으로 전체 희생자 179명의 신원 확인을 완료할 계획인데요. <br> <br>현재 수습된 유해는 격납고 임시 안치실에 설치된 대형 냉동고 11대에 안치돼 있습니다. <br> <br>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수습된 시신 다섯 구 중 4구는 어제 유가족들에게 인계됐습니다. <br> <br>이들 유가족들은 지자체의 지원을 받아 광주 3곳, 서울 1곳 등 장례식장에 빈소를 차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<br>(질문 2) 사고 원인 조사는 어떻게 되고 있나요? <br><br>네, 관계 당국은 사고 원인 규명과 현장 조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사고 현장에선 현장 감식과 유류품 등 수색과 수거 작업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><br>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조사관 11명과 보잉 등 미국 합동조사단 8명이 사고 현장조사를 오늘부터 시작합니다. <br> <br>사고 항공기에서 확보한 블랙박스를 점검한 결과 저장자료 추출 커넥터가 분실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 <br>현재 추출 방법을 찾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사고 당시 무안공항 관제탑에는 2명의 관제사가 근무했으며 어제 면담를 실시했습니다. <br> <br>이번 참사의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는 활주로 시멘트 둔덕에 대한 조사도 진행 중입니다. <br> <br>국토부는 무안공항을 다음달 7일까지 폐쇄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무안국제공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기현 정승환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공국진 기자 kh247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