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테나 로컬라이저, ’콘크리트 둔덕’ 위에 설치 <br />해외 항공안전 전문가들도 콘크리트 둔덕에 주목 <br />"활주로 근처에는 충돌 시 부서지기 쉬운 물체여야"<br /><br /> <br />해외 항공안전 전문가들도 이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공항 활주로 끝에 설치된 콘크리트 둔덕을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활주로 근처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세우는 것은 흔치 않다며 최악의 사례라는 평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윤현숙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무안국제공항에서 동체착륙을 시도했던 제주항공 여객기는 활주로를 벗어나 둔덕과 충돌하면서 폭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둔덕에는 여객기 착륙을 돕는 안테나 '로컬라이저'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<br /> <br />지면이 기운 탓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세워 수평을 맞췄습니다. <br /> <br />해외 항공 안전전문가들은 참사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이 단단한 콘크리트 둔덕을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활주로 근처에는 항공기 충돌에 대비해 부서지기 쉬운 형태로 구조물을 세워야 한다며 흔치 않은 형태에 의구심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존 콕스 / 항공안전 컨설턴트 : 콘크리트 둔덕에 부딪히지 않았다면 비행기는 멈춰 섰을 것이고, 사람들은 비행기에서 내릴 수 있었을 겁니다. 도대체 왜 콘크리트 구조물이 거기 있었죠?] <br /> <br />전직 항공기 조종사도 미국 언론과 인터뷰에서 공항 내 구조물 배치에 주목하면서 <br /> <br />특이한 공항 설계를 많이 봤지만 이번 사례는 최악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비상착륙 당시 동체가 심각한 손상을 입지 않아 콘크리트 구조물이 없었다며 결과가 달라졌을 거라는 의견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데이비드 리어마운트 / 항공 안전 전문가 : 조종사가 착륙을 위해 플랩과 랜딩 기어를 내리지 못한 것이 실제로 승객 사망의 원인은 아니었습니다. 승객들은 (있어서는 안 되는) 단단한 구조물에 부딪혀 사망했습니다.] <br /> <br />9년 전 일본 히로시마 공항에서 발생했던 유사한 아시아나 항공기 사고도 재조명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에도 착륙 도중 활주로를 이탈한 항공기가 로컬라이저와 충돌했지만 그대로 부수고 지나가면서 멈춰 섰습니다. <br /> <br />충돌 영향으로 엔진에 불까지 붙었지만, 폭발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고 탑승객 81명은 모두 생존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윤현숙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한경희 <br />디자인;지경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현숙 (yunhs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23119084883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