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제주항공 사고 여객기는 참사 전 48시간 동안 태국, 말레이시아 등지를 오갔는데요.<br> <br>착륙 한두 시간 만에 다시 이륙하는 걸 반복한 걸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짧은 체류 시간동안 비행기를 꼼꼼하게 점검하기엔 시간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우현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비행기는 사고 전 48시간 동안 13차례 운항하며, 무안과 태국,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오갔습니다. <br> <br>이 가운데 비행기가 착륙하고 다시 이륙하는데 걸린 시간이 1시간에 불과한 경우도 있었습니다.<br> <br>여객기가 착륙하는 동안 점검이 이뤄지는데 이때 이륙 정비에 필요한 최소 시간은 28분입니다. <br> <br>28분만 넘으면 법적으로 문제는 없지만 정비 현장에서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한 항공사 노조 관계자는 채널A에 "30분 남짓 시간 동안 정비사 한 명이 꼼꼼히 점검하기엔 시간 압박이 크다"며 "점검 시간을 현재보다 3분의 1이상 늘려야 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제주항공 측은 공항 체류 시간에는 육안 점검 등을 주로 한다며, 이것과 별도로 정비는 주기에 맞춰 철저히 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[김이배 / 제주항공 대표] <br>"항공기 점검을 더욱 강화하고 정비 인력 확충과 항공기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. 비행전후에 점검과 기상 모니터링 강화하고." <br> <br>국토부는 "이번 참사를 계기로 현행 정비 점검 시간 외에 다른 요소까지 고려해 개선할 부분을 찾아보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박찬기 김기범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