을사년, 뱀띠 해가 밝았습니다. <br /> <br />뱀은 예로부터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두려운 존재인 동시에 신성한 존재로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뱀의 문화적 의미와 함께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의 관련 민속자료를 소개하는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순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죽은 사람을 심판하는 10명의 왕을 그린 조선 시대 불화입니다. <br /> <br />변성대왕의 피리 소리에 맞춰 독사가 혀를 벌리고 이승에서 지은 죄를 벌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치마허리에 차던 사향 노리개는 먼 길을 갈 때 뱀을 쫓아주는 역할을 합니다. <br /> <br />뱀이 무섭고 두려운 존재만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붉은 도포를 입고 창을 든 뱀은 땅을 지키는 열두 수호신 가운데 하나입니다. <br /> <br />표주박에 달린 뱀 형상의 고리에는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생명력을 불어넣는 힘이 있다고 믿었습니다. <br /> <br />[장상훈 국립민속박물관장 : 뱀은 민간 신앙 속에서 집을 지키고 좋은 기운을 불러오는 보호자로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생명의 순환을 이루면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이어주는 존재로서 상징을 품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종교 행사와 농업에 사용되는 아즈텍 문명의 [캘린더 스톤]에는 뱀이 하늘과 땅을 아우르는 신으로 자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프리카 기니에서 뱀 조각상은 다산과 생명력의 상징으로 집안에 모셔졌고, 스리랑카에서는 병을 내쫓는 의식에 뱀의 가면을 사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[염희재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: 무섭고 징그럽고 피하고 싶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한데요, 뱀이 뭔가 샤먼이 되기도 하고 신으로 좌정이 되기도 하는 뱀의 색다른 모습을 보시고 뱀에게 이러한 모습도 있었나 놀라는 부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국립민속박물관이 마련한 뱀의 해 특별전에는 우리나라의 그림과 문헌, 민속 공예품 외에도 세계 각국의 자료도 함께 공개됩니다. <br /> <br />뱀의 해 운세를 점쳐보는 코너도 흥미를 더합니다. <br /> <br />을사년 뱀띠 해를 맞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민속에서 뱀의 문화적 의미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오는 3월 초까지 계속됩니다. <br /> <br />YTN 박순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이현오 <br /> <br />디자인:전휘린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순표 (s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5010101432641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