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은 올해, <br /> <br />양국 정부는 다방면에 걸쳐 교류의 폭을 넓히려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계엄 선포 이후 탄핵안 통과로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가운데 한일 간 협력이 얼마나 순조롭게 이어질지 불투명합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김세호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는 한일 양국이 1965년 국교 정상화에 합의한 지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이 재작년 3월, 국내 반발 여론에도 불구하고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해법을 내놓은 뒤 <br /> <br />12년 만에 한일 정산 간 셔틀외교가 재개되는 등 양국 관계는 그야말로 급물살을 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윤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상황에서 이런 흐름이 이어질지 의구심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이번 달 이시바 총리의 방한이 무산됐고, 한일 장관급 상호 방문도 잇따라 취소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한국의 대일 정책 변화에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하야시 요시마사 / 일본 관방장관(16일) : 한국 국내의 일련의 움직임에 대해 특별하고 중대한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습니다. 현재의 전략적 환경에서 한일 관계 중요성은 변함이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일본 내 전문가들은 한국이 조기 대선에 돌입할 경우 여야를 불문하고 각 후보가 기존 대일 정책을 뒤집을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냅니다. <br /> <br />[오쿠조노 히데키 / 시즈오카 현립대학원 교수 : 모든 후보들이 윤석열 정권의 유산을 부정하고 대통령 선거를 치를 수밖에 없는 분위기가 되면 한일 관계뿐 아니라 한미일 관계에도 엄청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이시바 총리 역시 저조한 지지율을 상반기 안에 반등시키지 않으면 퇴진론이 본격화할 수 있어, 일본 정국도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조선인 강제 동원을 둘러싼 일본 정부의 소극적인 자세도 여전한 걸림돌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1월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희생된 조선인에 대한 사과와 '강제노역' 표현이 빠진 것이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았지만, 일본의 과거사 인식과 한일의 정치적 상황은 한일 관계 개선 전망을 불투명하게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세호 (se-3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10105014807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