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비행기가 최종 착륙한 방향의 활주로는 공사로 인해 가용거리가 원래 길이보다 300m나 짧았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대규모 인명피해 원인으로 지목된 콘크리트 둔덕은 2022년부터 진행된 추가 공사를 통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황보혜경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원래 무안공항 활주로 길이는 2,800m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참사 당시에는 공사로 인해 가용거리가 300m 단축된 상태였습니다. <br /> <br />[주종완 /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: 활주로 연장 공사가 이뤄지고 있었기 때문에 2,500m로 운영되고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.] <br /> <br />사고 여객기가 활주로에 동체 착륙한 뒤 이동한 거리도 짧아지며, 최종 충격이 더 커진 것 아니냐는 추정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인명 피해를 크게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 콘크리트 둔덕 형태의 방위각 시설, 로컬라이저는 2022년부터 추가 공사가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2007년 개항 당시에는 콘크리트 말뚝 지지대를 흙으로 덮은 형태였지만, 이후 두께 30㎝짜리 콘크리트 상판을 새로 설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[주종완 /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: 개량 공사할 때 추가됐던 부분은 전체를 콘크리트로 덮은 것이 아니고, 콘크리트로 상판을 덮은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대해 국토부는 당시 안전성을 이유로 보강 공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2m 높이의 콘크리트 로컬라이저가 규정에 맞는다고 주장하다 한발 물러선 상태인데, 콘크리트 구조물을 추가한 사실까지 드러나 시설의 문제성이 더 짙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로컬라이저 설치의 위법성 여부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한 채 전국 공항 시설을 전수조사하겠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보혜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j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10200513276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