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특집 뉴스에이 시작합니다. <br>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공수처가 헌정 사상 최초로 현직 대통령 체포 시도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새벽 6시 조금 넘는 시간 대통령 체포조가 출동하면서, 용산 일대에는 긴장감이 가득했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대통령 경호처의 경호 벽에 막혀 5시간 반 만에 오늘 시도는 무산됐습니다. <br> <br>공수처는 영장 집행에 협조하지 않은 대통령을 피의자로 칭하며 유감을 표했습니다. <br> <br>첫 소식 이혜주입니다. <br> <br>[기자]<br>오전 8시쯤 용산 대통령 관저로 통하는 바리케이드가 열리고, 공수처 검사와 수사관 경찰 특별수사단으로 구성된 윤석열 대통령 체포팀이 관저 쪽으로 진입합니다. <br> <br>헌정 사상 첫 현직 대통령에 대한 체포 영장 집행에 들어간 겁니다. <br> <br>체포팀은 공수처 검사와 수사관 등 30명과 경찰 120명 등 150명으로 꾸려졌고 이 중 80명이 관저 진입을 시도 했습니다. <br> <br>체포 집행팀은 군 경호단과 경호처 직원들의 저지선을 지나 윤 대통령이 있는 관저 건물 근처까지 진입했지만, 경호처 직원들의 저지에 막혀 관저 진입과 윤 대통령 신병 확보에는 실패했습니다. <br> <br>오전부터 시작된 영장 집행팀과 경호처의 대치는 오후까지 계속됐고, 체포 영장 집행에 들어간지 5시간 반 만인 낮 1시 30분쯤, 체포팀은 오전에 진입했던 길을 따라 관저 밖으로 걸어 내려왔습니다. <br> <br>공수처와 경찰 공조수사본부는 "집행 저지로 현장 인원들의 안전이 우려돼 영장 집행을 중지했다"며 "법의 의한 절차에 응하지 않은 피의자의 태도에 심히 유감을 표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공수처가 발부받은 윤 대통령 체포영장은 오는 6일까지 유효합니다. <br> <br>공수처는 내부 검토를 거쳐 2차 체포 시도 여부와 시점 등을 정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혜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채희재 이락균 <br>영상편집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이혜주 기자 plz@ichannela.com